✅ 아기 열날 때 해열제 언제 써야 할까?|해열제 복용 기준 총정리
“해열제는 몇 도부터 먹여야 하나요?”
“해열제를 먹였는데 열이 안 떨어져요. 병원 가야 하나요?”
👉 이 글에서는
✔ 아기 체온 기준별 대응법
✔ 해열제 복용 타이밍
✔ 사용 시 주의사항까지
2025년 기준으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📌 목차
- 아기 체온 기준별 구분
- 해열제 언제 써야 하나요?
- 해열제 복용 기준 & 종류
- 해열제 사용 시 주의할 점
- 열이 안 떨어질 때 대처법
- 마무리 요약표
1. 아기 체온 기준별 구분
36.5~37.4℃ | 정상 체온 | |
37.5~38.0℃ | 미열 | 관찰 가능 |
38.0~38.4℃ | 경열 | 해열제 고민 시작 구간 |
38.5℃ 이상 | 고열 | 해열제 복용 권장 |
40.0℃ 이상 | 고위험 열 | 반드시 병원 진료 필요 |
📌 38.5℃부터 해열제 복용을 시작하는 게 일반적 기준이야.
2. 해열제 언제 써야 하나요?
✔ 체온이 38.5도 이상 + 아이가 힘들어 보일 때
✔ 기분이 처지고 잘 놀지 않으며 식사·수유 거부할 때
✔ 밤에 열로 잠을 못 자거나 깨는 경우
반대로 👇
❌ 38도 초반이고 아이가 잘 놀면 → 해열제 없이 관찰만 해도 OK
❌ 열만 있고 활기 있는 경우 → 수분 공급 + 휴식 우선
3. 해열제 복용 기준 & 종류
타이레놀(아세트아미노펜) | 생후 4개월~ | 4~6시간 간격 / 1일 최대 5회 |
이부프로펜(챔프시럽 등) | 생후 6개월~ | 6~8시간 간격 / 1일 최대 4회 |
해열 좌약 | 구토·복용 어려울 때 | 체온 38.5℃ 이상 + 경구제 복용 불가 시 사용 |
📌 종류에 따라 같은 해열제라도 겹쳐서 쓰면 안 되니,
✔ 동일 계열 약은 최소 4시간 이상 간격 유지가 기본!
4. 해열제 사용 시 주의할 점
❌ 무조건 먹이지 않기
→ 열이 있다는 건 면역 반응 중이라는 뜻이에요
❌ 약 중복 복용 금지
→ 타이레놀 먹고 또 좌약? ❌ (동일 성분 중복될 수 있음)
❌ 과용 금지
→ 체중 기준 용량을 꼭 지켜야 해요 (약국 or 소아과에서 확인)
✔ 해열제 복용 후엔
→ 30분~1시간 내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
→ 열이 안 떨어져도 4시간 이내 재복용은 금지
5. 열이 안 떨어질 때 대처법
✅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겨드랑이·목·이마 닦아주기
✅ 옷은 얇게, 이불은 가볍게 덮어주기
✅ 수분 보충 → 모유, 미온수, 전해질 음료
✅ 활력이 없고 열이 지속된다면 소아과 내원
✅ 40도 이상 열 or 경련 → 즉시 응급실
6. 마무리 요약표
37.5~38.0도 + 잘 놈 | ❌ | 관찰 + 수분보충 |
38.5도 + 힘들어함 | ✅ | 해열제 복용 후 관찰 |
해열제 복용 후 열 지속 | ❗ | 4시간 후도 열 지속 시 병원 |
40도 이상 or 경련 | 🚨 | 즉시 응급실 |
구토·복용 거부 | ⭕ | 좌약 가능 (의사 확인 후) |
#아기열 #해열제언제 #아기해열제복용법 #소아과언제가야해요
#아기감기대처법 #초보맘팁 #육아정보 #아기고열 #육아꿀팁
'🏥 건강·응급처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✅ 감기와 중이염 구별법|초보맘을 위한 체크포인트 정리 (0) | 2025.04.10 |
---|---|
✅ 아기 콧물 관리 꿀팁 총정리|막히고 흐를 때 대처법 (0) | 2025.04.10 |
✅ 아기 감기 초기증상 대처법 + 병원 가야 할 타이밍은? (0) | 2025.04.09 |
✅ 육아 스트레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+ 무료 상담센터 정리 (2025년) (2) | 2025.04.08 |
✅ 2025년 아기 예방접종 일정표 + 주의사항 정리 (최신 업데이트) (1) | 2025.04.07 |